TIL230314 REST API
REST API는
자원(resource)-url, 행위(verb)-http method, 표현(representations)로 이루어졌다.
이 3가지를 규칙에 맞게 쓰는 인터페이스라고 보면 된다.
요약
- URL은 정보의 자원을 표현
- 자원에 대한 행위는 HTTP Method(GET, POST, PUT, DELETE)로 표현
규칙
- 리소스명은 명사만 쓰여야 한다
- 자원에 대한 행위는 Method로 표현
- /는 계층 관계를 표현
- URL 마지막에 /를 넣지 않는다
- _대신 -를 활용해라
- 소문자만 써라
- 파일 확장자를 넣지 마라
간혹 show나 create 등을 url에 쓰는 경우가 있는데 그걸 하지 말란 거다. 행위를 Method로 쓰라는 거다.
Method 역할
POST: CREATE
GET: READ
PUT: UPDATE
(간혹) PATCH: UPDATE (일부만 수정)
DELETE: DELETE
4가지 또는 5가지 있다.
예)
/member/create x
/member o
/member 라는 url로 post란 method를 써서 create 할 수 있다.
/member 라는 url로 get method를 써서 read 할 수 있다.
/member 라는 url로 put method를 써서 update 할 수 있다.
/member 라는 url로 delete method를 써서 delete 할 수 있다.
url에 write.html이라던가 write라던가 하는 html, 동사를 초기에 써버렸었다.
rest api에 맞게 바꾸는 작업을 항상 해서 resfull하게 해야 한다고 1주차 때 강조해서 적용시켰다.
이외의 상태 코드는 내가 아직 쓰지 않아서 더 자세한 내용은 링크를 보고 이해하길 바란다.
규칙이라고 이해하면 된다.
관련 내용:
https://meetup.nhncloud.com/posts/92
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PmY3dWcCxXI